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승리의 여신: 니케/이벤트 스토리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REDSEA SCOUT ==== ||<tablewidth=100%><nopad> [youtube(Rq6E0SzeaH8, width=100%)] ||<width=50%><nopad> [youtube(5VviYys7JBI, width=100%)] || ||<-2><:> 플레이 예시 동영상 || [[슈팅 게임|종스크롤 슈팅 게임]] 형식, 그 중에서도 수많은 탄막을 흩뿌려 패턴을 피하는 [[탄막 게임]] 형식의 미니게임. 파손되어 이동이 불가능해진 에반게리온이 분다의 밑에 매달려 하늘을 날아다니며 전투를 펼친다는 시추에이션인 듯하다. [[동방 프로젝트]], 또는 [[스트라이커즈 1945 시리즈]]와 [[라이덴 2]]로 대표되는 [[탑뷰]] 강제스크롤 슈팅 게임이지만, [[잔기]]가 여럿인 대신 1회 피격으로 격추 되는게 아니라, [[라이덴 5|1회 피격에 좌측 하단 하트가 소모되고, 전부 없어지면 격추]]된다. [[피탄 판정]]은 기체 중앙에 있는 작은 원 부분. AT 필드는 [[폭탄(동음이의어)#슈팅 게임의 필살기 개념|폭탄의 역할]]이며, 각 기체마다 마다 기본 공격 형태와 폭탄 유형이 다르다. [[돈파치 시리즈|기체 양측에서]] 따라다니며 [[케츠이: 키즈나 지고쿠타치|자동사격하는 보조 무장]]이 있고, 게임중 획득하는 [[소닉윙즈|파워업 아이템은 영구적이지 않고 일정시간 버프]] 아이템의 형식이며, 각 미션 첫 회 및 반복 클리어시 [[DRAINUS|얻는 재료로 파츠 레벨업으로 강화]]하는 형식. 데스크톱은 따로 폭탄 키가 있지만 모바일에서는 직접 버튼을 터치해야한다. [[승리의 여신: 니케/이벤트 스토리#MEMORY OF GODDESS|MEMORY OF GODDESS]] 때 처럼 버튼을 죄우 원하는 대로 설정은 불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선 드래그 속도에 맞추면 기체도 빠르게도 느리게도 움직이지만, 손가락이 화면을 가리는 불편함이 있다. 일부 보스, 특히 그레이브 디거가 뿜어대는 탄막은 랙을 유발할 정도로 탄막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있다. 이를 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벌레공주님]]같은 [[케이브(게임 제작사)|CAVE]]의 게임들에서 [[처리지연#s-2|랙 걸리는 것까지 이용하는 정교한 회피]]를 할 때처럼 게임이 느려진 사이 적탄이 날아들지 않는 곳을 찾아 들어가는 걸 더 쉽게 한다는 개념으로 유리하게 써먹을 수 있다. 터치와 마우스 조작이 키보드 조작보다 기체의 이동속도가 최소 3배는 빠르기 때문에 오히려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이 쉽다는 평가가 있다. 이는 키보드 입력의 경우 [[인풋랙|움직임에 선딜레이]]가 있어 정밀조작이 힘들기도 하기 때문. 그리고 [[프로젝트 윙맨]]이란 게임처럼 [[Project Wingman#단점|붉은색 배경 속에서 빨간 적탄을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눈이 아프다거나 [[색각 이상]]이 있는 사람이라면 화면 내 요소들이 식별 자체가 되지 않아 진행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난이도는 이지 난이도는 상당히 쉬운 편이지만 노멀 난이도부터는 일반 몹 대신 보스전 위주로 전투하는데 보스들의 체력이 많고 패턴들이 복잡한 경우가 많아 슈팅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들은 별3개 달성을 못하거나 아예 클리어를 못해서 불만이 좀 있었고 이 때문에 2월 26일 패치로 기본 체력과 공격력을 버프시켜줘서 그 뒤로는 노멀 난이도도 상당히 쉬워졌다. * [[에반게리온]] * [[에반게리온 마크 9|Mark.09]] - 탄막 사격 기본 기체로 3방향으로 탄을 쏘는 형태. 폭탄은 [[AT 필드]]를 전개해 일정시간 무적이 되는 생존기. 필드가 펼쳐진 범위 내로 들어간 적탄이 지워진다. 다루기는 쉽지만 인게임 설명처럼 화력이 부실한 약점이 있다. 다만 이를 생존기와 합쳐 근접샷으로 보완이 가능하고 보스에게 측면이나 뒤로 가는게 아닌 이상 어느 위치건 어떻게든 딜을 끊임없이 넣거나 측면 적을 쉽게 커버하는 등 범용성이 높다. 무기최대 강화시 전방에 넓은 범위의 관통탄을 쏜다. * [[에반게리온 8호기|개조 8호기γ]] - 정밀 사격 정직하게 일직선으로 적을 관통해 지나가는 탄을 쏘는 형태. 이런 무기의 원조라 할 수 있는 [[구극 타이거]]의 초록 무기, [[라이덴(게임)|라이덴 시리즈]]의 파랑 무기인 "라이트닝 레이저"처럼 공격 법위가 좁아서 주변 잡졸을 잡기 힘들다. 폭탄은 [[마스터 스파크|전방 일직선으로 연속피해를 주는 굵은 광선]]을 조사하는데 [[파동포(알타입)#기가 파동포|단점으로 적의 탄을 지우지 못하며 적의 탄을 그대로 얻어 맞는데다 사용하는 동안 기본 공격을 하지 못한다.]] 무기 최대 강화시 총구에서 추가 관통탄이 발사된다. * [[에반게리온 2호기|신 2호기α]] - 화력 사격 [[컵헤드/아이템#s-2.2|짧은 사거리와 좁은 범위의 산탄 공격]]을 하는 형태. 화력은 3기체중 제일 높지만 거의 적 코앞까지 가야 하는 극단적으로 짧은 사거리를 가져서 숙련자용 기체다. 다만 상단 예시 동영상의 오른쪽처럽 [[고딕은 마법소녀]]라는 게임을 해봤거나,[* 해당 게임은 스코어링 특성상 [[위험행위권장 슈팅게임|가능한 적과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잡아야 한다]]. 애초 스코어링을 전제로 만들어진 게임이기 때문에 적응하기 위해선 강제로 이에 적응해야 한다.] [[스트라이커즈 1945 II]]의 [[스트라이커즈 1945 II#s-3.6|모스키토]]와 [[스트라이커즈 1945 III]]의 [[스트라이커즈 1945 III#s-4.2|F-117]]로 대표되는 초근거리 고화력 기체를 다뤄본 적 있어서 아케이드 강제스크롤 슈팅식 초근접전에 익숙한 사람들은 오히려 화력 손실이 적다고 좋아하기도 한다. 폭탄은 [[라이덴 3|순간적으로 모든 적의 탄을 소거]]시키고 [[라이덴 4|화면 안에 있는 모든 적에게 큰 피해]]를 준다. 무기 최대 강화시 양옆에 [[실버 호크#s-4.3|유도탄이 추가되어 2발씩 계속 쏴대며 메인샷의 짧은 사거리를 보조]]한다. * 추가 무장 * 화포형 좌우로 흩뿌리듯 사격하는 무장. 그럭저럭 무난한 범용성을 지녔으나, 몇몇 사람은 화력이 좀 약해서 탈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돌격형 각 양측으로 지속적인 화염방사를 하는 무기로. 피해는 높지만 양측으로 고정 및 상당히 짧은 사거리를 가졌다. 다른 에바와 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신 2호기α와 조합이 상당히 돋보인다. [[도그파이트]]라고 하기에도 부적절한 정도로 극단적인 초근접전을 벌이는 수밖에 없지만 대미지 하나만큼은 끝내주기 때문에 [[R-TYPE FINAL]]이나 [[그라디우스 V]], 혹은 [[R-TYPE FINAL 2]] 경험자라는 등의 이유로 고전 아케이드 슈팅을 접하면서 [[R-9D 계통#s-4.4.3.3|극단적인 근접전]]에 익숙한 [[TL 계통|경우]], 압도적인 활약상을 선보일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